2025년 1월 2일 오전 10시 26분경,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한 폐기물처리장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가 지게차에서 떨어진 압축물에 깔려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이 사고는 작업 현장에서의 안전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At around 10:26 a.m. on January 2, 2025, a worker working at a waste treatment plant in Songpa-gu, Seoul, was crushed to death by compressed water that fell from a forklift. This accident is once again a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at work sites.

1. 사고 개요
해당 사고는 폐기물처리장에서 재해자가 압축기 내부를 정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던 중 발생하였습니다. 이때 지게차의 포크에 실려 있던 압축물이 떨어지면서 재해자를 덮쳐 사망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2. 사고 원인 분석
이 사고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이 분석될 수 있습니다:
1) 지게차 운반물의 고정 불량: 지게차 포크에 실린 압축물이 충분히 고정되지 않아 작업 중 낙하한 것으로 보입니다.
2) 작업자와 지게차의 근접 작업: 재해자가 지게차의 작업 범위 내에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낙하물에 직접적인 위험에 노출되었습니다.
3) 작업 계획 및 지휘 부족: 지게차를 활용한 작업 시 운행 경로, 작업 방법, 추락 및 낙하 위험에 대한 예방 대책이 포함된 작업 계획서의 수립과 작업 지휘자의 지정이 미흡하였을 수 있습니다.
3. 사고 결과
사고로 인해 한 명의 근로자가 사망하였으며, 이는 작업 현장에서의 안전 관리 소홀로 인한 중대한 인명 피해 사례로 기록됩니다.

4. 안전 대책 및 예방 방안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안전 대책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1) 작업 계획서 수립 및 작업 지휘자 지정:
(1) 지게차와 같은 차량계 하역 운반 기계를 사용하는 작업 시에는 운행 경로, 작업 방법, 추락 및 낙하 등의 위험 예방 대책을 포함한 작업 계획서를 반드시 수립해야 합니다.
(2) 작업 지휘자를 지정하여 작업을 지휘하고, 작업자들에게 안전 수칙을 철저히 교육해야 합니다.
2) 운반물의 안정적 적재 및 고정:
(1) 지게차로 물체를 운반할 때는 포크에 실린 물체가 움직이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확실하게 고정해야 합니다.
(2) 적재물의 무게와 크기에 따라 적절한 고정 장치를 사용하고, 운반 중에도 지속적으로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3) 작업자와 장비 간의 안전 거리 확보:
(1) 지게차 작업 구역 내에 불필요한 인원의 출입을 통제하고, 작업자와 장비 간의 안전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2) 특히, 지게차가 물체를 인양하거나 운반하는 동안에는 해당 구역에 작업자가 접근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4) 안전 장비 착용 및 사용:
(1) 작업자들은 헬멧, 안전화 등 개인 보호 장비를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2) 지게차 운전자는 안전 벨트를 착용하고, 지게차의 안전 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5) 정기적인 안전 교육 및 훈련:
(1) 모든 작업자들에게 정기적인 안전 교육을 실시하여 작업 절차와 안전 수칙을 숙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2) 비상 상황 발생 시 대처 방법에 대한 훈련을 통해 실제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6) 장비의 정기 점검 및 유지보수:
(1) 지게차를 포함한 모든 장비는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해 안전한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2) 특히, 지게차의 포크, 브레이크, 유압 시스템 등의 주요 부위는 사용 전에 반드시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8) 작업 환경의 정리 정돈:
(1) 작업 현장은 항상 정리 정돈되어 있어야 하며, 불필요한 장애물이나 위험 요소를 제거해야 합니다.
(2) 특히, 지게차의 운행 경로와 작업 구역은 깨끗하게 유지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9) 커뮤니케이션 체계 구축:
(1) 작업자 간, 그리고 작업자와 지게차 운전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2) 핸드 시그널, 무전기 등의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하여 작업 진행 상황과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공유해야 합니다.
이러한 안전 대책들을 철저히 준수함으로써 유사한 사고의 재발을 방지하고, 작업 현장에서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안전은 모든 작업의 최우선 과제이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1. Accident Overview
The accident occurred while a disaster was working on cleaning up the inside of the compressor at the waste treatment plant. At this time, the compressed material on the fork of the forklift fell and hit the injured person, leading to death.
2. Analysis of Accident Cause
The main cause of this accident can be analysed as follows:
1) Poor fixing of forklift carrier: It seems that the compressed material loaded on the forklift fork was not sufficiently fixed and fell during work.
2) Close work of worker and forklift: The disaster person was exposed to direct danger to the drop by performing the work within the work range of the forklift.
3) Lack of work plan and command: The establishment of a work plan including operation route, work method, and preventive measures against fall and fall risk during work using forklifts and the designation of the work conductor may have been insufficient.
3. Accident result
One worker was killed in the accident, which is recorded as a significant case of casualties due to negligence in safety management at the workplace.
4. Safety measures and preventive measures
The following safety measures must be thoroughly followed to prevent such accidents:
1) Establish a work plan and designate a work conductor:
(1) When using a vehicle system unloading transport machine such as a forklift, a work plan including the route of operation, work method, and risk prevention measures such as falls and falls must be established.
(2) You should designate a work conductor to direct the work and thoroughly educate workers on safety rules.
2) Stable loading and fixing of the carrier:
(1) When transporting objects by forklift, they must be firmly fixed so that the objects loaded on the fork do not move or fall.
(2) Use appropriate fixtures according to the weight and size of the load, and check the condition continuously during transportation.
3) Securing a safe distance between the worker and the equipment:
(1) Control unnecessary personnel's access to the forklift work area and maintain a safe distance between workers and equipment.
(2) In particular, while the forklift is salvaging or transporting objects, it should ensure that the operator does not approach the area.
4) Wearing and using safety equipment:
(1) Workers must wea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helmets and safety shoes.
(2) Forklift drivers should wear seat belts and make sure that the safety devices of the forklift are working normally.
5) Regular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1) Regular safety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all workers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work procedures and safety rules.
(2) Training on how to deal with emergencies allows you to respond quickly and accurately in real situations.
6) Regular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equipment:
(1) All equipment, including forklifts, must remain safe through regular inspections and maintenance.
(2) In particular, major parts such as forks, brakes, and hydraulic systems of forklifts must be checked before use to check for abnormalities.
8) Organize the working environment:
(1) Work sites should always be organized and tidy, and unnecessary obstacles or risk factors should be removed.
(2) In particular, the driving route and working area of forklifts should be kept clean to create a safe working environment.
9)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system:
(1) A system for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workers and between workers and forklift drivers should be established.
(2) You should share your work progress and risk factors in real time using communication tools such as hand signals and radios.
By thoroughly complying with these safety measur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similar accidents and ensure safety at the workplace. Safety is the top priority of any task, and it requires constant effort and attention to do so.
'사고사례 accident c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고사례 ] 강원 고성군 공사현장, 철근 인양 작업 중 떨어짐 사고(25. 01. 13) (0) | 2025.02.07 |
---|---|
[ 사고사례 ] 서울 성동구 빌딩 엘리베이터 점검 중 끼임 사고(25.01.03) (1) | 2025.02.05 |
[ 사고사례 ] 충남 천안시 도금 사업장, 산업용 로봇 사이 끼임 사고 (25.01.03) (2) | 2025.02.05 |
[ 사고사례 ] 경북 포항시 양어장 지게차 수면으로 떨어짐 사고 (25.01.03) (0) | 2025.02.04 |
[ 사고사례 ] 대구 달성군 주조 사업장에서 발생한 사고의 원인과 안전 대책 (0) | 2025.02.04 |